"/>"/>전기안전 Archives - 10 중 7 번째 페이지 - (주)케이에스타

전기안전

기술전문위원 POOL 모집 공고

질의 답변과 관련하여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실력있는 분야별 전문가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 아 래 – 1. 기술전문위원 응모 개요    가. 기술전문위원 응모기간 : 2020. 5. 25(월) ∼ 6. 15(월) 18:00까지    (내부 심의 후 선정된 기술전문위원 개별 통보 예정)   나. 기술전문위원 위촉기간 : 지정일로 부터 1년    다. […]

기술전문위원 POOL 모집 공고 더 읽기"

진단 협력업체 모집 공고

종합적인 전기설비 안전진단 수행 제공을 위해 앞선 기술력과 첨단 장비를 갖춘 진단 협력업체를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 아 래 – 1. 진단 협력업체 모집 개요    가. 협력업체 응모기간 : 2020. 5. 25(월) ∼ 6. 15(월) 18:00시 까지    (현장 실사 및 내부 심의 후 선정된 협력업체 개별 통보 예정) 

진단 협력업체 모집 공고 더 읽기"

배선차단기와 누전차단기

1. 배선차단기 : MCCB(Molded Case Circuit Breaker), 전류 이상을 감지하여 선로가 열에 의해 타서 손상되기 전, 선로를 차단하여 주는 배선 보호용 기기 1) 배선용차단기 동작 원인 (1) 단락 (2) 과부하 2) 배선차단기 동작원리 기준치 열 온도를 감지하는 기자력의 발생의 원리로 인한 트립. 기자력(전류) : 물체에 자기를 생기게 하는 외부적인 힘이나 작용. 자기회로에 자속을 발생시키는 힘,

배선차단기와 누전차단기 더 읽기"

케이블에 흐르는 충전전류 발생원인, 문제점, 영향, 대책

케이블에 흐르는 충전전류 발생원인, 문제점, 영향, 대책 1. 충전전류의 발생원인 1) 케이블의 정전용량이 크기 때문에 발생한다. 2) 단도체의 경우 케이블의 정전용량 [uF/km] ​위 식에서 가공전선로의 경우 D가 등가선간거리이기 때문에 그 값이 크나, 케이블의 경우에는 절연반지름에 해당하므로, 정전용량이 가공전선로에 비해 30~40배 크다. ​ 2. 충전전류의 문제점과 영향 1) 페란티 현상 송전단에 큰 부하가 걸려있을 경우에는 관계없으나

케이블에 흐르는 충전전류 발생원인, 문제점, 영향, 대책 더 읽기"

낙뢰, 뇌서지 보호대책

낙뢰, 뇌서지 보호대책 1. 개요 낙뢰의 위험으로부터 인축, 전기설비, 정보통신기기 등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먼저 뇌보호시스템(LPS)을 구성해야 한다. *LPS : Lightning Protection System, 외부 피뢰보호시스템 – 수뢰부, 인하도선, 내부 피뢰보호시스템 – SPD으로 구분 할 수 있다. LPL (Lightning Protection Level) : 피뢰시스템이 뇌방전의 영향으로부터 보호대상물을 보호하는 확률, 피뢰등급, 보호등급 LPZ (Lightning Protection Zone): 뇌보호구역 LPMS (LEMP

낙뢰, 뇌서지 보호대책 더 읽기"

접지공사의 종류와 설계, 시공시의 유의사항

접지공사의 종류와 설계, 시공시의 유의사항 종류 접지저항값[Ω] 적용개소 제1종 10 ●특고압, 고압 기기의 외함, 철대●특고용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특고압, 고압전로에 시설하는 피뢰기,접지선●특고압 가공전선로에 시설하는 보호망 제2종 150 / 변압기고압,특고압1선지락전류 ●특고압, 고압을 저압으로 변성하는 변압기의 2차측 중성점이나 1단자●변압기 특고압, 고압권선과 저압권선 사이에 설치하는 금속제 혼촉방지판 제3종 100 ●고압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400V 미만의 저압기기의 외함, 철대●특고압 가공 전선과

접지공사의 종류와 설계, 시공시의 유의사항 더 읽기"

전기안전관리법 제정 법률 공포 안내(2020.03.31)

전기안전관리법 제정 법률 공포 안내(2020.03.31) 1. 제정 배경 ㅇ 최근 제천 복합상가 화재(`17.12월), 밀양 세종병원 화재(`18.1월) 등 대형 전기화재 사고를 계기로 정부는 전기재해 예방을 위한 근본적인 개선방안 마련 추진 ㅇ 이에 전기설비를 설치부터 유지ㆍ운용단계까지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전기안전관리에 대한 사항을 전기사업법에서 분리하여 전기안전관리법을 제정함 2. 제정 경과 ㅇ ‘16. 11. 29 : 전기안전관리법안 의원발의(김정훈의원 대표발의) ㅇ ‘16. 12. 13 : 전기안전관리법 제정 대응

전기안전관리법 제정 법률 공포 안내(2020.03.31) 더 읽기"

특별 저저압에 의한 보호(직접접촉보호, 간전접촉보호, IEC60364 감전보호체계)

특별 저저압에 의한 보호(직접접촉보호, 간전접촉보호, IEC60364 감전보호체계) 1. 인체 저항과 전압 관계 인체저항은 보통 5,000옴 이나 근로 환경, 피부가 젖은 정도, 인가전압에 따라 500옴까지 감소한다. 인체저항은 전압이 일정한 경우 통전전류의 크기에 비례하고 전압에 대해선 지수함수적으로 변화한다. 즉 전압이 올라가면 피부저항이 내려가는데 1,000V에서 피부는 완전히 절연히 파괴되고 내부저항 500옴만 남는다. 2. 직접접촉에 의한 보호 : 전기설비의

특별 저저압에 의한 보호(직접접촉보호, 간전접촉보호, IEC60364 감전보호체계) 더 읽기"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서지의 종류와 이에 대한 기기의 보호대책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서지의 종류와 이에 대한 기기의 보호대책 1. 개요 1) 전력계통의 불안정은 부하설비의 시스템 고장, 오동작, 기능정지 등을 유발하며, 이로 인해 큰 피해를 야기시킨다. 2) 그 원인은 낙뢰, 뇌서지, 단락, 지락, 개폐서지 등의 이상전압에 의한 경우와 기기 자체결함 또는 관리적 요소로 볼 수 있다. 2. 이상전압 1) 뇌서지 (1) 뇌운 : 열뢰, 계뢰, 지형뢰,

전력계통에서 발생하는 서지의 종류와 이에 대한 기기의 보호대책 더 읽기"